구글 태그 관리자 계정 설정을 마치셨으면 본격적으로 태그 관리자를 이용하여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코드를 설정하겠습니다.
1. 구글 태그 관리자 접속 후 [작업공간] > [태그] 메뉴를 클릭합니다.
2. [새로 만들기] 버튼을 클릭합니다.
3. 태그 이름을 설정합니다.
4. [태그 구성] 부분 안에서 클릭하면 [태그 유형 선택] 창이 나타납니다.
[태그 유형 선택] 에서 [유니버설 애널리틱스]를 선택합니다.
※ [기본 Google 애널리틱스]는 유니버설 코드 이전에 사용했던 추적코드를 사용할때 선택합니다.
5. [유니버설 애널리틱스]를 선택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위 화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.
(1) 추적 ID
구글 애널리틱스의 추적 ID를 입력하시면 됩니다.
찾는 방법은 구글 애널리틱스에 접속하셔서 [관리] > [속성 설정] 에 보시면 추적ID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.
(예) UA-12345678-1
※ 향후에는 [변수]로 생성하여 언제든지 불러올수 있게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.
(2) 추적 유형
추적 유형은 총 7가지로 나누어 집니다.
일단, 이번 라이브러리 에서는 [페이지뷰]에 대해서만 설명 드리겠습니다.
※ 페이지뷰란?
웹 페이지가 로드 될때마다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.
여기까지 설정하셨으면 태그 구성은 완료된 것입니다.
다음은, [트리거]를 설정해 보겠습니다.
[트리거] 는 이전 강의에서 설명을 드렸으니 참고 바랍니다.
6. [트리거] 영역을 클릭합니다.
7. [트리거 선택] 화면에서 [All Pages] 항목을 선택합니다.
8. 설정 상태를 확인하시고 이상이 없으시면 우측 상단에 있는 [저장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이로써, 태그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.
하지만, 구글 태그 관리자에서 생성이 완료 되었을 뿐 실제로 동작 시키기 위해서는 [게시] 버튼을 클릭해야 구글 애널리틱스가 동작을 합니다.
9. [태그]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보시면 [게시] 라는 Select Box 가 있습니다.
Select Box 오른쪽 부분을 클릭하면 3가지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3가지 메뉴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.
(1) 지금 게시
태그 관리자에서 설정이 완료되면 [지금 게시]의 [게시] 버튼을 클릭해서 실제로 구글 애널리틱스를 동작하게 합니다.
(2) 미리보기 및 디버깅
미리보기 및 디버깅 기능은 태그 관리자에서 셋팅한 태그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미리보기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[미리보기]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[크롬 브라우저] 로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브라우저 하단에 나오게 됩니다.

위 화면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일단, 위 화면에서 "Tags Fired on This Page:" 부분만 확인하고 넘어가겠습니다.
이 부분에서 현재 "PAGEVIEWS" 태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만약, 태그에 문제가 있을 경우 "Tags Not Fired On This Page:" 하단에 태그가 나오게 됩니다.
(3) 새 버전으로 저장
태그 관리자는 버전 관리 기능이 있어 이전 버전과 새로운 버전을 비교하면서 작업할 수 있습니다.
만약, 새로 만든 버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전 버전으로 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.
이렇게 해서 [게시] 부분까지 알아보았습니다.
지금까지 설명을 정리하면
[태그 관리자]에서
[태그]를 생성하고
[트리거]를 생성한 후에 저장하고
[미리보기]를 통해 태그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을 하고
[게시]를 하면
성공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 기본 추적코드가 설정됩니다.